스마트 계약 기반 생존 확인 시스템의 상속 활용 가능성
암호화폐나 NFT 같은 디지털 자산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오직 프라이빗 키나 시드 문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사망했을 경우, 가족이나 상속인이 자산의 존재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를 낳습니다. 지금까지는 생전에 유언장을 작성하거나, 시드 문구를 오프라인으로 남겨두는 수동적인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스마트 계약 기반 생존 확인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갑 활동을 일정 기간 모니터링하다가, 일정 기간 이상 아무 활동이 없을 경우 ‘사망 또는 사고’로 간주하고, 사전에 지정된 상속인 주소로 자산을 자동 분배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구조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실현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기술적·법적 한계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1. 생존 확인 스마트 계약이란?
‘생존 확인 시스템’이란, 일정 기간 사용자의 활동이 없을 경우, 그 상태를 사망 또는 장기 부재로 간주하고 디지털 자산의 자동 이전 또는 특정 작업 실행을 트리거하는 스마트 계약입니다.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 요소 | 설명 |
사용자 지갑 | 디지털 자산 보유 주체 (자산 소유자) |
타이머 기능 | 일정 기간 활동이 없을 경우 조건 발동 |
오라클 | 외부 조건을 인식 (예: 온라인 활동 여부 등) |
상속인 지갑 | 사전에 지정된 수혜자 지갑 주소 |
스마트 계약 | 자산 이전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 |
예를 들어, 사용자가 365일 동안 거래, 로그인, 트랜잭션 서명 등 어떤 활동도 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이 자동으로 상속 계약을 실행해 자산을 지정된 가족 지갑으로 전송합니다.
2. 실제 작동 방식 – 무응답 트리거 조건 설정
생존 여부를 기술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조건을 활용해 간접적으로 ‘무응답 상태’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트리거 조건 예시:
- 지정된 기간 동안 지갑에서 서명 활동 없음
- 스마트 계약에 ‘ping’ 호출이 일정 기간 없음
- 외부 오라클 API를 통한 온라인 기록 확인 불가
- 정기 서명을 요청했지만 응답하지 않음
function ping() public {
require(msg.sender == owner);
lastActive = block.timestamp;
}
예를 들어, 매년 1회 ping() 호출을 하지 않으면, claim() 함수가 활성화되고 지정된 상속자 지갑으로 자동 이체가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3. 실현 가능한 스마트 계약 구조 예시
아래는 생존 확인 기반 자동 이전 스마트 계약의 간단한 틀입니다.
contract DeadManSwitch {
address public owner;
address public heir;
uint public lastActive;
uint public timeout = 365 days;
constructor(address _heir) {
owner = msg.sender;
heir = _heir;
lastActive = block.timestamp;
}
function ping() public {
require(msg.sender == owner, "Only owner can ping.");
lastActive = block.timestamp;
}
function claim() public {
require(msg.sender == heir, "Only heir can claim.");
require(block.timestamp > lastActive + timeout, "Owner is still active.");
payable(heir).transfer(address(this).balance);
}
receive() external payable {}
}
이 계약은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작동합니다:
- 소유자가 생전에 자산을 스마트 계약에 예치
- 매년 한 번 ping() 호출을 통해 “나는 살아있다”는 신호 전송
- 만약 1년 넘게 아무 호출이 없으면, claim() 함수 활성화
- 상속자가 자산을 청구할 수 있음
4. 이 구조의 장점
- 사망 또는 사고 시 자동 실행
- 법적 절차 없이도 자산 이동 가능
- 프라이빗 키나 시드 문구 공유 없이 상속 가능
- 신뢰할 기관 없이, 코드 기반으로 유언 실행 가능
특히 멀티시그나 MPC 구조보다 간단하며, 개인이 스스로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점에서 높은 자율성을 가집니다.
5. 기술적·법률적 한계
한계 요소 | 설명 |
오작동 위험 | 단순히 사용자 활동이 없다는 이유로 사망으로 판단할 수 없음 |
법적 상속 인정 불가 | 스마트 계약의 자동 실행이 법적 ‘상속’으로 인정되지는 않음 |
보안 문제 | 스마트 계약 자체에 취약점이 있을 경우 자산 탈취 위험 존재 |
상속자 권한 남용 가능성 | 상속자가 조기 실행을 시도하거나 오라클 조작 가능성 존재 |
따라서 이 구조는 법적 유언장과 병행 사용하거나, 기술적으로는 자동화하고, 법적으로는 보완하는 이중 구조 설계가 바람직합니다.
6. 향후 활용 가능성과 발전 방향
- 오라클의 발전
Chainlink 같은 오라클 네트워크를 통해 실제 사망 여부 확인을 보다 정밀하게 구현 가능 - 법률 연계 스마트 계약
일부 국가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유언장 또는 상속 계약을 법적으로 인정하려는 움직임 있음 - Web3 상속 인프라
지갑에 ‘상속인’을 사전 등록하고, 조건 충족 시 자동 권한 이전이 가능한 지갑 인프라 등장 가능성 있음 - 분산신원(DID) 연계 상속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과 DID를 연결해 보다 정교한 생존 판별 가능성 열림
결론
스마트 계약 기반의 ‘생존 확인 시스템’은 아직 초기 개념이지만, 디지털 자산의 상속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매우 현실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입니다. 법률과 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한 부분도 있지만, 기술적으로는 이미 구현 가능한 수준까지 발전해 있으며, 이 구조를 어떻게 안전하게 설계하느냐가 앞으로의 과제입니다.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상속하고 싶다면, 이제는 단순한 유언장을 넘어서 ‘스마트 유언장’을 고민해야 할 시기입니다.
'상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O 구성원이 사망하면 디지털 자산은 어떻게 되는가? (0) | 2025.09.28 |
---|---|
디지털 자산의 장기 보관을 위한 콜드월렛 전략 (1) | 2025.09.27 |
상속인을 위한 디지털 자산 회수 절차 가이드 (0) | 2025.09.26 |
디지털 자산 상속을 위한 가족 커스터디 플랜 설계 방법 (0) | 2025.09.25 |
디지털 자산의 상속세 문제- 암호화폐 세금 신고와 과세 기준 (1) | 2025.09.24 |
댓글